UIUX 디자인 (KO)

사용자 경험 여정이란 무엇인가: UX 디자이너를 위한 심층 해설 (사용자 경험 여정의 중요성, 구성요소, Template link 포함)

Y.Designer 2025. 6. 1. 11:15

 

사용자 경험 여정 User Journey Map ❘ 출처 AI를 활용 예시 제작

 

들어가며

디지털 서비스가 넘쳐나는 시대, 사용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왜 어떤 앱은 설치 후 바로 삭제되고, 어떤 서비스는 매일 찾게 될까요? 그 답은 바로 '사용자 경험 여정(User Journey)'에 있습니다. 사용자 경험 여정은 단순한 분석 도구를 넘어, 사용자의 진짜 니즈를 발견하고 서비스를 혁신하는 강력한 무기입니다. 오늘은 UX 디자이너와 서비스 기획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사용자 경험 여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용자 경험 여정(User Journey)이란?

사용자 경험 여정은 사용자가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서비스와 상호작용하는 전체 과정을 시간 순서대로 시각화한 지도입니다. 단순히 '클릭-이동-구매'와 같은 표면적인 행동만 추적하는 것이 아니라, 각 단계에서 사용자가 무엇을 생각하고, 어떤 감정을 느끼며, 어떤 문제점을 겪는지까지 종합적으로 파악합니다.

예를 들어, 배달앱을 통해 치킨을 주문하는 과정을 생각해보세요. 사용자는 '배고프다'는 니즈에서 시작해 앱 실행, 메뉴 선택, 결제, 배달 대기, 음식 수령까지의 전 과정을 거칩니다. 이 모든 단계에서 사용자의 기대와 실제 경험 사이의 간극을 발견하고 개선점을 찾아내는 것이 사용자 경험 여정의 핵심입니다.

왜 사용자 경험 여정이 중요할까?

사용자 관점에서 서비스 바라보기

대부분의 기업은 자신들의 시각에서 서비스를 개발합니다. 하지만 사용자 경험 여정을 통해 실제 사용자의 눈높이에서 서비스를 재평가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나 기획자가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부분이 사용자에게는 큰 장벽일 수 있거든요.

숨겨진 문제점 발견

표면적으로는 문제없어 보이는 서비스도 사용자 여정을 그려보면 예상치 못한 pain point들이 드러납니다. 특히 서로 다른 부서에서 관리하는 접점들 사이의 연결고리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비즈니스 임팩트 창출

McKinsey 연구에 따르면, 고객 여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기업들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고객 만족도에서 20% 이상 높은 성과를 보인다고 합니다. 결국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은 매출 증가와 직결됩니다.

조직 내 공감대 형성

사용자 경험 여정은 개발팀, 마케팅팀, 고객서비스팀 등 다양한 부서가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공통의 언어를 갖게 해줍니다. 이를 통해 더 효과적인 협업이 가능해집니다.

사용자 경험 여정의 주요 구성 요소

효과적인 사용자 경험 여정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음 7가지 핵심 요소를 포함해야 합니다.

1. Thinking (생각하는 것)

각 단계에서 사용자가 머릿속으로 떠올리는 생각들입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뭐가 나올까?", "가격이 합리적인가?", "정말 안전한 결제 방식일까?" 같은 내면의 목소리를 포착합니다.

2. Doing (행동하는 것)

사용자가 실제로 취하는 구체적인 행동들입니다. 클릭, 스크롤, 검색, 입력, 결제 등 관찰 가능한 모든 액션을 시간 순서대로 나열합니다.

3. Feeling (감정)

각 단계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감정 상태입니다. 기대감, 불안감, 만족감, 좌절감 등을 구체적으로 표현합니다. 이는 감정곡선(Emotional Journey)으로 시각화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4. Touch Points (접점)

사용자가 브랜드나 서비스와 만나는 모든 지점입니다. 웹사이트, 모바일 앱, 고객센터, 이메일, 소셜미디어, 오프라인 매장 등이 모두 포함됩니다.

5. Strength (강점)

각 단계에서 우리 서비스가 잘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사용자가 만족하거나 기대 이상의 경험을 제공하는 지점을 명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6. Weakness (약점)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거나 이탈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 지점입니다. 로딩 시간, 복잡한 회원가입 절차, 불친절한 고객서비스 등이 대표적입니다.

7. Opportunity (기회 요소)

약점을 개선하거나 강점을 더 강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개선 방안들입니다. 단순한 문제 지적을 넘어 실행 가능한 솔루션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용자 경험 여정 작성 방법 및 단계

1단계: 목표 설정 및 범위 정의

먼저 왜 사용자 경험 여정을 그리는지 명확한 목적을 설정해야 합니다. 신규 가입 과정 개선을 위해서인가? 구매 전환율 향상이 목표인가? 고객 이탈 구간을 찾기 위해서인가? 목적에 따라 분석 범위와 깊이가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토스의 송금 기능 개선이 목표라면 '송금 필요성 인식'부터 '송금 완료 후 확인'까지의 전체 과정을 다뤄야 합니다.

2단계: 대상 사용자(페르소나) 선정

모든 사용자를 만족시키려 하면 아무도 만족시킬 수 없습니다. 구체적인 페르소나를 설정하고 그들의 특성을 명확히 정의해야 합니다. 예시: "직장인 김민수(28세), 스마트폰 중급 사용자, 간편결제 선호, 시간 절약을 중시"

3단계: 데이터 수집 및 매핑

정성적 데이터와 정량적 데이터를 모두 활용합니다. 정성적 데이터로는 사용자 인터뷰, 고객센터 문의 내용 분석, 사용성 테스트 결과, 리뷰 및 피드백 분석이 있습니다. 정량적 데이터로는 웹 분석 도구(GA4 등) 데이터, 앱 사용 로그 분석, 전환율 및 이탈률 데이터, A/B 테스트 결과 등이 포함됩니다.

4단계: 인사이트 도출 및 우선순위 설정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핵심 문제점을 파악하고, 비즈니스 임팩트와 개선 난이도를 고려해 우선순위를 정합니다. 우선순위 매트릭스를 활용하면 효과적입니다: 고임팩트 + 저난이도 = 즉시 실행, 고임팩트 + 고난이도 = 장기 계획, 저임팩트 + 저난이도 = 여유 시 실행, 저임팩트 + 고난이도 = 보류

추가로 활용하면 좋은 요소들

감정곡선(Emotional Journey)

사용자의 감정 변화를 그래프로 표현합니다. X축은 시간(단계), Y축은 감정 상태(만족도)로 설정하여 감정의 기복을 시각적으로 보여줍니다. 감정이 급격히 떨어지는 구간이 바로 개선이 시급한 지점입니다.

백스테이지 프로세스(Backstage Process)

사용자에게는 보이지 않지만 서비스 제공을 위해 내부적으로 일어나는 모든 과정입니다. 주문 처리 시스템, 재고 관리, 배송 프로세스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프론트엔드와 백엔드의 연결고리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성과지표(KPI) 연결

각 단계별로 측정 가능한 지표를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랜딩 페이지는 체류시간과 이탈률, 회원가입은 가입 완료율과 소요시간, 첫 구매는 전환율과 장바구니 포기율, 재구매는 재방문율과 생존 고객 비율을 측정합니다.

멀티채널 관점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드는 사용자의 여정을 통합적으로 봐야 합니다. 온라인에서 정보를 찾고 오프라인에서 구매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많거든요.

실제 서비스 사례: 배달의민족 주문 여정

배달의민족의 치킨 주문 과정을 사용자 경험 여정으로 분석해보겠습니다.

1단계: 니즈 발생

  • Thinking: "뭐 먹지? 집에서 간편하게..."
  • Doing: 스마트폰 집어들기
  • Feeling: 선택의 어려움, 기대감
  • Touch Point: 모바일 앱 아이콘

2단계: 앱 실행 및 메뉴 탐색

  • Thinking: "오늘 할인하는 곳 있나? 리뷰는 어떤가?"
  • Doing: 앱 실행, 카테고리 선택, 매장 비교
  • Feeling: 선택권 있음, 약간의 혼란
  • Touch Point: 앱 메인화면, 필터 기능

3단계: 주문 및 결제

  • Thinking: "배달비는 얼마나 될까? 결제 안전한가?"
  • Doing: 메뉴 선택, 옵션 설정, 결제 진행
  • Feeling: 결정했다는 안도감, 결제 불안감
  • Touch Point: 주문 화면, 결제 시스템

이런 식으로 전체 과정을 세밀하게 분석하면, 각 단계에서의 개선점을 명확히 찾을 수 있습니다.

사용자 여정 지도가 서비스 개선에 미치는 영향

사용자 경험 여정은 단순한 분석 도구가 아닙니다. 사용자 중심 사고의 출발점이자, 조직 전체가 같은 방향을 바라볼 수 있게 하는 나침반 역할을 합니다.

잘 만들어진 사용자 여정 지도는 다음과 같은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냅니다:

즉각적인 효과: 명확한 문제점 파악, 개선 우선순위 설정, 팀 간 소통 개선
중장기적 효과: 사용자 만족도 향상, 전환율 증가, 고객 생애 가치(LTV) 상승
조직적 효과: 사용자 중심 문화 정착,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부서 간 협업 강화

디지털 전환 시대에 살아남기 위해서는 기술적 우위보다 사용자 이해가 더 중요합니다. 사용자 경험 여정은 그 이해의 시작점입니다. 완벽한 여정 지도를 한 번에 만들려 하지 말고, 작게 시작해서 지속적으로 개선해나가는 것이 핵심입니다.

오늘부터 여러분의 서비스에도 사용자 경험 여정을 적용해보세요. 분명히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새로운 기회들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참고용 Figma Journey Map Templates

https://www.figma.com/community/file/1231335225843178928/journey-map-kit

https://www.figma.com/community/file/1139780825384692937/user-journey-map-template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