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9

Figma 플러그인 팁 | 완성된 UI를 ‘딱’ 와이어프레임으로 변환해주는 플러그인 Simplify Wireframe 디자인을 하다 보면 완성된 UI 화면을 기반으로 기획을 정리하거나, 구조만 빠르게 확인하기 위해 와이어프레임으로 다시 단순화해야 하는 순간이 종종 찾아온다. 하지만 기존 디자인을 그대로 사용하면 마치 이미 디자인을 다 해놓고 준 느낌을 줄 수 있어 협업 단계에서 오해가 생기기도 합니다.이럴 때 아주 유용한 플러그인이 바로 Simplify Wireframe이다. 디자인된 화면을 자동으로 와이어프레임 스타일로 변환해 주기 때문에, 기획–와이어프레임–디자인으로 흐르는 포트폴리오 과정에서도 정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플러그인입니다. Simplify Wireframe 사용 방법Step 1. 플러그인 설치하기Figma 상단 메뉴에서 Community > Plugins로 이동해 Simplify Wiref.. 2025. 11. 20.
[PMP 시험 핵심정리] Business Environment 도메인 – 자주 틀리는 핵심 5개 완전 해석 (PMBOK®7 기반) Business Environment 도메인은 프로젝트가 조직 전략, 외부 환경, 규제, 가치 창출과 어떻게 연결되는가를 다루며, 단순한 수행 중심이 아닌 **전략적 정렬(Strategic Alignment)**과 비즈니스 가치 실현이 핵심 주제입니다. 아래 5개 항목은 PMP 수험생이 가장 자주 오답을 내는 영역으로, PMBOK®7(p.140–151)을 근거로 “핵심 개념 → 예시 문장 → 함정 구별 → 관리 포인트 → 근본원인 → 정리 문장” 순서로 정리했습니다. ① 비즈니스 가치 실현 (Benefits Realization)📘 pmbok 비즈니스 환경 도메인 > 143–145p 핵심 개념“프로젝트 산출물은 비즈니스 전략 목표와 연결되어야 하며, 단순 완료가 아닌 가치 창출이 목표다.”Output.. 2025. 11. 11.
[PMP 자격증 핵심정리] 개발방식과 생애주기 도메인 — 프로젝트 프로세스의 뼈대 이해하기 핵심 개념PMBOK® 제7판에서는 ‘개발방식(Development Approach)’과 ‘생애주기(Life Cycle)’ 선택이 전체 프로세스의 뼈대를 형성한다고 설명합니다.즉, 예측형(Predictive) · 적응형(Adaptive) · 복합형(Hybrid) 중 어떤 방식을 택하느냐에 따라 프로젝트의 흐름(Flow), 케이던스(Cadence), 의사결정 속도, 그리고 리스크 관리 구조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 출처: pmbok 개발방식 도메인 > 87–90p ① 예측형 (Predictive) 개발방식 특징: 초기에 범위·일정·비용을 확정하고, 이후 변경을 최소화하는 계획 중심 방식프로세스 흐름: 요구 → 설계 → 개발 → 검증 → 인도의 선형 Waterfall 패턴케이던스: 하나의 마스터 일정으로 .. 2025. 11. 10.
[5분 인사이트] 요구사항을 디자인하는 법 — 수정에 휘둘리지 않는 디자이너의 자세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은 언제나 존재한다. 하지만 모든 요구가 ‘진짜 문제’를 말하는 건 아니다. 디자이너의 일은 수정에 반응하는 게 아니라, 요구 뒤에 숨은 의도와 맥락을 해석하는 일이다. 핵심 인사이트요구를 ‘문제 정의’로 번역하라.“버튼을 크게 해주세요”라는 요청은 ‘더 눈에 띄게 해달라’는 말처럼 들리지만, 그 안에는 “전환율을 높이고 싶다”는 진짜 목적이 숨어 있다.수정 요청이 왔을 때, 디자이너는 즉시 반응하기보다 한 번의 역질문을 던질 필요가 있다. “혹시 전환율을 높이는 게 이번 수정의 목적일까요?”“이 변경이 어떤 데이터나 피드백을 기반으로 나온 걸까요?”이 한 줄의 질문은 요청을 ‘수정’에서 ‘문제 정의’로 바꾼다. 그 질문을 통해 디자인의 방향이 요청자의 언어에서 사용자의 목표로 이동.. 2025. 11. 7.
[5분 인사이트] AI 시대의 디자이너는 ‘질문’을 디자인한다 왜 ‘질문’을 디자인해야 하는가AI가 텍스트를 쓰고, 이미지를 그리는 시대. 디자이너의 역할은 단순히 ‘만드는 사람’에서 ‘의도를 설계하는 사람’으로 바뀌고 있다.이제 중요한 건 “무엇을 만들까”보다 “왜 그렇게 만들까”를 묻는 힘이다.AI와의 협업에서 가장 강력한 무기는 좋은 질문(프롬프트) 이다. 프롬프트는 단순한 명령어가 아니라 디자인 사고를 언어로 표현한 형태다. 질문이 명확하면 결과는 방향을 잃지 않는다. 좋은 질문이 만드는 디자인의 차이AI에게 “예쁜 UI를 만들어줘”라고 하면 표면적 결과가 온다. 하지만 “이 화면을 보는 사용자가 어떤 감정을 느끼길 원하는가?”라고 묻는 순간, AI는 경험 중심의 결과를 제시한다. 결국 질문이 결과를 바꾼다. 좋은 질문은 문제를 좁히지 않고 맥락을 확장시킨.. 2025. 11. 5.
피그마(Figma) 플러그인 추천 | 3D Transformer 로 2D 이미지 3D로 변환하는 방법 실무에서 3D 목업을 빠르게 만들어야 할 때가 종종 있습니다. 특히 SNS 홍보물, 이벤트를 제작할 때 입체감 있는 목업을 활용해 표현하면 더 입체적인 표현이 가능해서 자주 사용하는데요. 과거에는 포토샵을 사용해서 3D로 뷰를 전환해서 변환해 사용하곤 했는데, 피그마를 사용하면서 이렇게 프로그램을 여러 개 쓰는 게 번거롭더라고요.이럴 때 아주 유용한 플러그인이 바로 '3D Transformer'입니다. 몇 번의 클릭만으로 2D 이미지를 자연스러운 3D 목업으로 변환할 수 있어서, 굉장히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어서 사용방법을 간단하게 소개하려고 합니다.3D Transformer 플러그인이란?3D Transformer는 피그마 내에서 2D 프레임이나 이미지를 3D 관점으로 변환해 주는 플러그인입니다. X, .. 2025. 8. 14.
피그마 텍스트 타이핑 프로토타입 제작 방법 (텍스팅 애니메이션) Figma Chat Prototype 요즘 특히 챗봇 등의 채팅형 UI를 만들일이 많은 것 같은데요. 채팅형 UI를 만들다 보면 개발 쪽에 명확한 인터랙션을 전달하기 위해 프로토타입을 제작해 보여주곤 합니다. 이럴 때 피그마의 프로토타입을 사용해서 효과적으로 인터랙션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서 오늘 소개하려고 합니다. 복잡한 플러그인이나 외부 도구 없이도 Figma 기본 기능만으로 충분히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자주 사용합니다.피그마로 얼마나 자연스러운 인터랙션이 구현될까 의아할 수 있지만, 아래 결과물부터 보면 생각보다 자연스럽게 잘 구현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피그마로 텍스트 인터랙션 구현 방법Step 1: 텍스팅 대상 UI 디자인하기먼저 텍스팅 효과를 적용할 기본 UI를 설계해보면서 대략적인 레이아웃과 여백, 자간.. 2025. 7. 23.
제품 개발, 워터폴 vs 린스타트업 방식의 차이 및 장단점 분석 서비스를 만들다 보면 ‘어떤 방식으로 개발해야 할까?’에 대한 고민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특히 기획자나 디자이너라면 워터폴 방식과 린 스타트업 방식이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되는데요. 오늘은 이 두 가지 개발 방식을 비교해보며, 각각 어떤 상황에 적합한지 정리해보겠습니다.워터폴 방식이란?워터폴(Waterfall) 방식은 전통적인 개발 방식으로, 기획 → 디자인 → 개발 → 테스트 → 출시의 순서대로 진행됩니다. 한 단계가 끝나야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어, 전체적인 일정과 결과물을 미리 계획하기에 유리하죠.장점사전 계획이 철저해 예상치 못한 변수에 강함큰 조직이나 시스템 구축형 프로젝트에 적합단점개발 도중 피드백 반영이 어려움시장 반응을 개발 후에야 확인 가능린 스타트업 방식이란?린 스타트업(Lean .. 2025. 7. 15.
Apple, iOS 26의 디자인 혁신 – Liquid Glass 업데이트 정보 | UI 최신 트렌드 Apple이 새롭게 제안한 '디자인의 감도'Apple은 iOS 26을 통해 "아름다운 새로운 디자인, 지능적인 경험, 그리고 사용자들이 매일 의존하는 앱들의 개선사항"을 제공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단순히 예쁜 UI를 넘어, 사용자와의 '감각적 연결'을 디자인으로 실현한 것입니다. 그 핵심에는 Liquid Glass라는 새로운 시각 언어가 있습니다.iPhone의 역사상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로 평가받는 iOS 26은 친숙함을 유지하면서도 표현력을 획기적으로 강화했습니다. 새로운 디자인은 "시스템 전반에 걸쳐 더욱 표현적이고 즐거운 경험을 제공하면서도 iOS의 즉각적인 친숙함을 유지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구체적으로 Liquid Glass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Liquid Glass란? – 반투명, 굴절.. 2025. 6. 16.
Figma Tip | Ghost Plugin - Recommended Figma Plugin for creating Skeleton UI As designers, we often encounter situations where we need to present mockups or loading states. Especially for initial service screens or cases involving network delays, Skeleton UI is a crucial element that helps provide users with a sense of stability.In my early days, I used to create these screens manually, thinking, “Isn’t there a faster way to do this?” That’s when I discovered the Ghost p.. 2025. 6. 10.
Figma Tip | Ghost Plugin - 스켈레톤 UI 만들어주는 피그마 플러그인 추천 디자인 작업을 하다 보면 목업이나 로딩 상태를 표현해야 할 때가 자주 있습니다. 특히 서비스 초기 화면이나 네트워크 지연 상황을 대비한 스켈레톤 UI는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주는 요소로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합니다.저도 초기에 이런 화면을 일일이 그리면서 "이 작업을 더 빠르게 처리할 수는 없을까?" 고민한 적이 많은데요.오늘 소개할 플러그인 Ghost는 이 작업을 단숨에 해결해주는 도구입니다.Ghost는 기존 UI layout은 그대로 유지한 채, 콘텐츠만 스켈레톤 형태로 깔끔하게 변환해줍니다. 특히 Figma에서 작업하는 디자이너라면 바로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Ghost 플러그인 설치 방법Step 1: Figma 홈 → Templates and tools → From Communit.. 2025. 6. 10.
What is Skeleton UI? | Definition, Importance & Key Considerations Have you ever seen a website or app where, instead of a blank screen or a spinner, you’re shown animated gray blocks or lines while content is still loading? That’s what we call a "Skeleton UI" — a subtle yet powerful tool for enhancing the user experience.What is Skeleton UI?A Skeleton UI is a placeholder layout that mimics the structure of the content that’s being loaded. Unlike traditional lo.. 2025. 6. 9.